사상구 인구통계
사상구 인구 통계
인구통계는 매년 6월, 12월말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인구통계 현황
(2023년 12월말 기준)
구 분 | 주요통계 | 세부사항 | |||||||||||
---|---|---|---|---|---|---|---|---|---|---|---|---|---|
사상구 인구소멸위험 진단 ‘위험 진입’ |
인구소멸 위험 지수: 0.49 ※ 부산 내 9위 | ||||||||||||
1.5이상 | 1.0~1.5 | 0.5~1.0 | 0.2~0.5 | 0.2 | |||||||||
안정 | 보통 | 주의 | 위험진입 | 고위험 | |||||||||
인 구 | 202,932명 2022년 12월말 대비 (증)857명 |
남성(101,865명) > 여성(101,067명) | |||||||||||
평균연령: 47.6세 * 전국 평균 44.8세 | |||||||||||||
유소년(0~14세) | 생산가능(15~64세) | 고령(65세~) | |||||||||||
16,215명 (8%) | 141,017명 (69.5%) | 45,700명 (22.5%) | |||||||||||
세 대 | 100,003세대 | 1인 가구 43.7%, 2인 가구 26.6%로 전체 비중 70.3% | |||||||||||
출 생 | 출생아 수 694명 2022년 대비 (증)17명 |
가임여성인구(15~49세): 38,720명(19.8%) | |||||||||||
(2022년) 합계출산율 0.604명 * 전국: 0.778명/ 부산 0.723명 | |||||||||||||
고 령 | 사망자 수 1,664명 2022 대비 (증)152명 |
고령인구(65세~): 45,700명(22.5%) “초고령사회” | |||||||||||
노령화지수 281.8%, 노년부양비 32.4% | |||||||||||||
인구이동 | 순이동자 수 (전입자-전출자) 142명 |
(총) 전입 | 건 | 16,092 | 관외전입 | 건 | 12,421 | ||||||
명 | 21,791 | 명 | 15,715 | ||||||||||
(총) 전출 | 건 | 15,944 | 관외전출 | 건 | 12,273 | ||||||||
명 | 21,649 | 명 | 15,753 | ||||||||||
외국인 | 5,466명 | 남: 2,942명, 여: 2,524명 (베트남 33.3%, 중국 26.7%) | |||||||||||
외국인 배우자 수: 764명 |
장래인구추계
사상구 장래인구추계(2020 ~ 2040)
(2020년 기준, 2022년 11월 부산시 발표) / (단위: 명, %)
구분 | 총인구 | 유소년 (0~14세) |
생산가능 (15~64세) |
고령 (65세~) |
총부양비 (생산가능인구1백명당) |
---|---|---|---|---|---|
2020년 | 218,290 | 19,872 | 160,515 | 37,903 | 36 |
2040년 | 160,716 | 9,758 | 83,674 | 67,274 | 92.1 |
증감(비율) |
△26.4 |
△50.9 |
△47.9 |
77.5 |
155% |
부산 내 증/감 순위 |
감소속도 2위 | 감소속도 1위 | 감소속도 2위 | 증가속도 7위 | 증가속도 1위 |
- 담당부서 : 미래청년기획단
- 전화번호 : 051-310-5181
- 최종수정일 :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