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정보
- 이상지질혈증
이상지질혈증
원인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이상지질혈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이상지질혈증이 생길 수 있다.
진단 및 검사
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한다
※ 심뇌혈관계 질환(뇌졸중,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위험인자
고혈압, 흡연, 나이(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직계가족의 심장혈관의 가족력, 고밀도 지단백(HDL)이 40mg/dL 미만(예외, 고밀도 지단백이 60mg/dL 이상인 사람은 위험인자에서 하나를 제함)
저밀도 지단백(LDH)
- 위험인자가 1개 이하 160mg/dL
- 위험인자가 2개 이상 130mg/dL
-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당뇨가 있는 경우 100mg/dL
고밀도 지단백(HDL)
- 남자 40mg/㎗ 이하
- 여자 50mg/㎗ 이하
중성지방(TG)
- 150mg/㎗ 이상
검사
금식을 한 후 시행하는 채혈검사가 필요하다.
- 중성지방 수치가 보통 400 mg/㎗이하인 경우
LDL-콜레스테롤 = 총 콜레스테롤 수치 - 중성지방수치/5 - HDL - 콜레스테롤 수치 - 중성지방 수치가 400 mg/㎗를 넘는 경우: 직접 LDL-콜레스테롤을 측정
증상
대부분 증상이 없음(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증상이 나타남)
치료 및 관리
식이요법
- 기름기가 많은 음식, 포화지방산 및 단순당(설탕, 사탕, 꿀, 탄산음료 등)의 섭취를 줄여 섭취 열량을 줄임
- 기름기를 뺀 육류나 튀기지 않은 생선을 적절히 섭취
- 쇠고기, 돼지고기 등: 지방을 제거한 살코기나 수육으로 먹음
- 닭, 칠면조, 오리 등: 껍질과 지방층을 제거하고 튀기지 말고 먹음
- 등푸른 생선: 튀기지 말고 충분히 먹음
- 여러 가지 과일을 골고루 많이 섭취하도록 하고, 과일은 주스보다는 통과일로 껍질째 먹는다.
- 식사, 간식, 과일을 먹을 때는 야채, 해조류, 콩 등의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을 같이 먹되 최대한 충분히 먹는다.
운동요법
운동의 효과
고밀도지단백(HDL)을 증가시키고,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LDH)을 감소
운동방법
-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최소한 하루 30분이상 주5회 이상
※ 중등도 이상의 운동: 운동을 하면서 대화하기에 약간 부담이 되기 직전의 상태
예) 시속 6㎞의 속도로 활기차게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탁구, 골프 등 - 가벼운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10분씩 반드시 시행
- 처음 2~3주는 가볍게 시작하고, 3~4주는 시간을 늘리고, 4주 이후는 강도를 늘린다.
금연 및 절주
흡연
중성지방(TG), 저밀도지단백(LDH)을 증가, 고밀도지단백(HDL) 감소
음주
- 간과 심장 등 신체장기에 나쁜 영향, 중성지방(TG)을 증가 시킴
- 하루에 1잔 또는 그 이하가 적당함
약물치료
생활 습관을 개선해도 이상지질혈증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약물요법이 필요
경과/합병증
합병증으로 심혈관계 질환이 증가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혈액 내의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
- 담당부서 : 건강증진과
- 전화번호 : 051-310-5152
- 최종수정일 :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