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0대 분야별 주요사업

  1. 1 서부산 행정복합타운
    산업단지 상상허브
    지역산업 혁신거점
    첨단산업 중심의 사상공업지역 新르네상스 실현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10.~’30.)

    • 위치규모 : 주례, 감전, 학장동 일원 3,021천㎡(914천평)
    • 사업방식 : 기반시설정비(지자체), 복합용지개발(민간)
    • 총사업비 : 4,251억 원(국·시비 1,498, 기타 2,753)
    • 추진내용 : 도로·공원·주차장 등 기반시설 정비(새벽로 확장 등), 복합용지 지정, 업종 재배치 등 산업구조 개편 등
      • 산단 경쟁력 강화사업(주차장‧공원) 추진('23년 ~ '26년)
        - 학장동 230-8번지 일원 (활성화구역 옆), A=9,839㎡(약 3,000평)
        - 지하 주차장 및 지상공원 조성 1식, 사업비 590억 원

    서부산 행정복합타운 건립(’17.~’27.)

    • 위 치 : 학장동 230-1번지(사상스마트시티 활성화지구 내)
    • 규 모 : 대지 8,610.2㎡(연면적 84,871㎡, 지하5층/지상31층)
    • 총사업비 : 4,133억 원(공사비 2,848, 용지비 366, 부대비 919)
      • 사상스마트시티 디지털 복합타운 조성
        - 활성화 구역 잔여부지(A-3, 4,700㎡), 지하 5층/지상 24층, 72,911㎡
        - AR, VR, 게임, 영상콘텐츠 등 국내 콘텐츠기업 260여 개 집적

    산업단지 상상허브 조성(’20.~’32.)

    • 사업개요 : 학장동 725-4,5번지, A=27,871㎡ ▹활성화구역 지정
    • 총사업비 : 6,080억원(민자)
    • 입주시설 : 판매시설 및 복합문화센터, 지식산업센터, 공공임대 산업센터 및 희망상가, 행복주택 등

    삼락동 공업지역 지역산업 혁신거점 조성(’20.~’27.)

    • 사업개요 : 삼락동 380-17번지 일대, A=17,620.5㎡,
    • 총사업비 : 2,210억 원(LH 1,917, 市 293)
    • 주요내용 : 탄성소재 R&D센터, 산업혁신 지원센터, 문화・교양시설 등
  2. 2 엄궁대교
    사상역복합환승센터
    광역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도시 경쟁력 강화

    낙동강 횡단대교 및 승학터널 건설

    • 대저대교: L=8.24㎞ B=4차로 3,956억 원, 착공('24.), 준공('29.)
    • 엄궁대교: L=2.91㎞ B=6차로 3,455억 원, 착공('24.), 준공('29.)
    • 승학터널: L=7.69㎞ B=4차로 4,961억 원, 착공('24.), 준공('29.)

    도시 철도망 확충 사업

    • 부전~마산 복선전철 : L=32.7Km, 1조 5,766 원, 준공('24.12.)
    • 사상~하단 도시철도 : L=6.9㎞ 정거장 7개소, 6,862억 원, 준공('26.)

    사상역 일원 광역교통환승센터 구축(’24.)

    사상~해운대간 지하고속도로 건설(22.8㎞, ’30.)

    주례~학장~부산역 도시철도 추진(市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요청)

    • L=6.5Km, 정거장 7개소
  3. 3 삼락생태공원 리버브릿지
    괘내마을∼백양대로 간 보행환경 개선
    단절 극복, 생활권 연결을 통한 도시기능 회복

    경부선 철도 지하화('30.)

    • 사업내용: 화명역~부산진역 L=17km 철로 지하화 ※ 우리구 약 7km
    • 총사업비: 1조 5,500억 원
    • 부산시 경부선철도 지하화 실행계획 수립용역(’24.)
    • 국토부 경부선 지하화 연구용역('24)

    삼락생태공원 리버브릿지 및 관광센터 건립('25.)

    • 브릿지(공원형 보도교): L=200m, B=7~15m, 170억원(시 170)
    • 생태관광센터: 연면적 2,200㎡, 120억원(국 60, 시 60)
      • 부산형 도시명품 통합하천 사업 ‣환경부 공모 선정
        -리버브릿지 B=30m, L=200m, 스카이바이크 L=3.6km 등 총 869억 원

    괘내마을~사상공원간 보행환경 개선('24.)

    • 괘내마을~사상공원 보행육교 L=163m, E/V 2대, 전망시설 등, 123억 원
    • 착공(‘24), 준공(‘25)

    동서고가로 철거('30.)

    • 사상~해운대간 대심도 건설과 연계, 사상~진양 구간(7km) 철거
  4. 4 국립 백양산 자연휴양림
    국가정원 구역도
    여가와 휴식이 함께하는 웰빙 생태도시 조성

    사상공원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19.~’26.)

    • A=623,118㎡, 사업비 626.8억 원, 운산마중마당, 주차장, 반려동물 특화시설 등
      • 사상 숲체험 교육관 조성
        - 사상공원 內, A=28,000㎡, 사업비 155억 원

    부산도서관 문화공원 조성(’18.~‘24.)

    • 덕포동 415-1 외2, A=3,160㎡, 사업비 145억 원

    사상역 문화숲 조성(’20.~‘24.)

    • 광장로 83, A=13,000㎡, 사업비 32억 원

    국립 백양산 자연휴양림 조성(’22.~)

    • 모라동 산33번지 일원, A=72ha, 사업비 86억 원
    • 실시설계 용역 및 기반시설 공사('24~'25)

    삼락생태공원 국가정원 지정(‘22.~’26.)

    • 삼락생태공원 일원, A=360ha, 사업비 1,105억원
    • 市 지방정원 지정‧운영(‘23.~’26.), 산림청 국가정원 지정(‘26.)
  5. 5 삼락복합문화체육센터
    사상강변축제
    구민행복 실현을 위한 문화여가 기회 확대

    삼락복합문화체육센터 건립 ▸옛 사상경찰서 부지

    • 건립규모 : 지하1층, 지상5층, 부지 3,766㎡, 연면적 8,188㎡
    • 총사업비 : 337억 원
    • 주요시설 : 수영장, 체육관, 생활문화센터, 삼락동 행정복지센터 등
    • 기초공사('24), 준공('25)

    엄궁유수지복합문화체육센터 건립

    • 건립규모 : 지상4층, 연면적 5,732㎡
    • 총사업비 : 286억 원
    • 주요시설 : 실내워터파크(수영장), 체육관, 공공도서관 등
    • 착공(‘24), 준공(‘25.)

    오감만족 지역 특성화 축제 개최

    • 전통달집놀이(2월): 달집태우기, 지신밟기, 민속놀이 체험 등
    • 사상강변축제(10월): 강변을 테마로 한 프로그램 개발
    • 부산국제록페스티벌(8월): 체류형 축제 위한 각종 이벤트 발굴 지원 등
    • 洞 소규모·특성화 축제 개발ž지원 ▸삼락벚꽃축제 등 11개
  6. 6 주례열린도서관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머물러 살고 싶은 명품 교육도시 조성

    주례 열린도서관 건립(’19.~’24.)

    • 주례동 536번지 외 6, A=4,915.62㎡(지하1~지상4층), 264억 원
    • 어린이/종합자료실, 북카페,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준공(‘24)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 조성(‘24)

    • 사상구청(지하1층~지상1층) 40억 원, 2,205㎡
    • 통통주민커뮤니티센터(엄궁동) 4억 원, 435.26㎡
    • 꿈나래작은도서관(사상구종합사회복지관 2층), 4.8억 원, 262㎡
      ※ 운영중인 시설: 육아종합지원센터, 덕포1동행정복지센터, 어린이도서관, 낙조전망대

    교육명문지구 사업 추진(’23.~)

    • 그린스마트미래학교(동주초, 엄궁초, 사상고)
    • 교육과정 자율학교(사상고, 구덕고, 주례여고)
    • 교과 특성화 학교(구덕고)
    • 방과 후 온라인 교실(대덕여고, 주례여고, 사상고, 구덕고 등)
    • 국제바칼로레아(IB)학교(동궁초)
    • 항공우주 특성화 학교(서부산공업고)
    • 노후 학교시설 개선(관내 36개 학교)

    신입생 입학 준비금 지급(’24.~)

    • 지급대상: 초·중·고교 1학년 신입생 3,920명, 682백만 원
    • 지 급 액: 초·중학생 100천 원, 고등학생 300천 원
  7. 7 글로컬센터 조감도
    덕포시장 일원 도시재생
    마을 공동체를 되살리는 사상형 도시재생 추진

    덕포, 삼락지역(덕포시장 일원) 도시재생사업(’24~‘27)

    • 위치: 덕포동 419-1번지 일원, A=261,900㎡
    • 내용: 거점시설(2개소) 조성, 노후 주택 집수리사업, 삼락천 친수공간 조성 등
    • 총사업비: 31,750백만 원(국 15,000, 시 7,500, 구 9,250)
    • 현장지원센터 개소(’24), 거점시설 부지 매입(‘24)

    모여라 모라로 도시재생사업(’21.~‘24.)

    • 위 치: 모라동 1140-5번지, 모라전통시장 일원
    • 내 용: 생활문화공간 조성, 주거환경 개선, 골목상권 활성화 등
    • 총사업비: 62,121백만원(국 10,000, 시 5,000, 구 5,000 기타 42,121)
    • 거점시설 3개소 준공(24)

    2023년 도시재생사업 공모 추진(’23.~‘27.)

    • 덕포시장 일원, 240억 원, 활성화계획 수립 용역 시행
      • 소규모 특화재생사업(’22.~‘23.) ‣고풍스럽지 아니한·가
        -덕포시장 일원, 400백만원, 전통문화(혼례)마을 조성, 삼락천 경관개선 등
  8. 8 감전2학장2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정비
    공업지역 완충저류시설
    침수걱정 없는 쾌적한 안심도시 조성

    사상구청교차로 일원 우수저류시설 설치

    • 우수저류시설 1개소(V=35,000㎡), 500억 원
    • 공모신청(’24), 저류시설 설계(‘25)

    감전·학장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 펌프장 조성 2개소 Q=1,400㎥/min, 하수관 정비 L=0.43km, 484억 원
    • 공사착공('24), 공사완료('27)

    삼락지구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 수문일체형 펌프 2개소, 유속가속기 1개소, 하수관로정비 L=3.98km 등, 455억 원
    • 토지보상('24), 공사착공('25)

    사상공업지역 완충저류시설 설치

    • 저류조 2개소 신설 V=10,818㎥, 473억 원
    • 토지보상('24), 공사착공('25)

    침수피해 방지를 위한 재난관리 시설 고도화

    • 스마트 통합재난안전 상황실 조성, 7억 원
  9. 9 덕포1동 행정복지센터
    덕포역 공영주차장 부지
    주민 욕구에 맞춘 다양한 주민편익 사업 시행

    편안한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洞 행정복지센터 신축

    • 학장동행정복지센터: 2,173㎡, 9,000백만 원, 실시설계(’24.), 착공(’24.)
    • 삼락동행정복지센터: 1,067.09㎡, 착공(’23.6.) ‣삼락복합문화체육센터 內
      ※덕포2․괘법동 청사 도시관리계획결정 용역 시행, 감전동 청사부지 매입 추진

    도시 기반 인프라 조성

    • 구덕터널 상부~서구 경계간 연결도로: L=875m, 7,370백만 원, 완공(‵24)
    • 사상고 일원 도로 정비·확장: L=70m, 550백만 원, 준공
    • 모라 동원아파트 앞 육교 엘리베이터: 900백만 원, 준공(`24)
    • 덕포동 덕개굴다리 일원 엘리베이터: 700백만 원, 준공(`24)
    • 주례지하철역 왕굴다리 엘리베이터: 1,300백만 원, 준공(`24)
    • 신모라사거리 회전육교: L=120m, 3,200백만 원, 준공(`24)
    • 덕포역 역세권 공영주차장: 68면, 5,900백만 원, 준공('24)

    지역별 노인여가시설 확충

    • 엄궁동 경로당 건립: 엄궁동 510-15번지, 300백만 원, 준공(’24)
    • 주학경로당 건립: 동주로 2, 200백만 원, 준공(’24)
    • 청파경로당 확장: 대동로 138, 130백만 원, 리모델링(‘24)
  10. 10 위생사업소 현대화
    지역현안 해소 및 공공용지 개발 추진

    부산구치소 관외 통합 이전

    • 부산구치소 강서구 통합 교정시설 조성 발표(市 교정시설 입지선정위원회)
    • 부산구치소 이전 적지에 서부산 중심 미래지향적 시설 유치 추진

    한일시멘트 부산공장 이전

    • 대체부지 발굴 및 이전 행정지원 강화, 이전부지 개발 대안 마련 등

    감전동 위생사업소시설 현대화(’24.)

    • 분뇨 처리시설 지하화(Q=2,500㎥/일) 및 지상 공원화, 1,003억 원
    • 이전 잔여부지(A=51,950㎡) 종합 스포츠타운 조성 추진

    엄궁농산물 도매시장 이전(’28.)

    • 강서구 일원, 부지 270천㎡, 건물 163천㎡, 5,200억 원
    • 이전 잔여부지에 주민선호 시설 또는 지역발전을 위한 핵심시설 유치
  • 담당부서 : 기획감사실
  • 전화번호 : 051-310-4012
  • 최종수정일 : 2024-02-20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