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삼락동

삼락동 지명유래

각 동 구역별 지도를 클릭하시면
지명유래를 보실 수 있습니다.

사상구 지도(삼락동, 모라1동, 모라3동, 덕포2동, 덕포1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1동, 주례2동, 주례3동, 학장동, 엄궁동) 삼락동 모라동 덕포동 괘법동 감전동 주례동 학장동 엄궁동

삼락동의 유래

삼락동은 옛날 낙동강 동쪽 물길따라 길게 뻗은 모래톱 섬으로서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유도>로 나와있고 삼락이라는 기록은 없다.
행정단위는 양산군 좌이면 유두리로서 구포권에 속했는데 일제시대인 1914년 동래군 사상면, 삼락리와 유두리가 되었다. 삼락의 지명을 군자삼락, 인생삼락에 비유하기도 한다. 이곳에 1935년 낙동강 제방을 쌓으면서 강쪽으로 많은 땅이 편입되어 긴 섬이 둑 안팎으로 갈라졌다.

양산군지에 보면 조선조 중엽 지금의 삼락동인 유도에는 김씨들이 최초로 들어와 갈대를 베어내고 땅을 갈아 농사를 지으면서 섬 주위에 둑을 쌓고 나무를 심는데 후세에 이 정자나무 덕택으로 사람들이 홍수의 재난에서 살아 날 수 있었으므로 활인수, 활인정이라고 했다는 기록이 있다. 유도라는 지명도 섬에서 자라던 나무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두리의 본동네는 <새(쇠)각당>과, 제방을 쌓고 활인수가 있던 <환방리 (고리방)> 지역이었고, 위쪽의 <솔뫼섬>과 아래쪽의 <오복섬>은 유두와 이어 지는 섬이었다. 조선시대 지도를 보면 낙동강이 삼차수로 흐르는 강서쪽에 출두도, 대저도, 덕두도, 소요저도가 있고 강 동쪽에 동두저포가 있는데 동쪽 머리 포구는 유도에 있던 나루터를 일컫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포 <범방산>에서 발원한 <범방천>이 모라 운수천과 합류하여 샛강인 <유두강>이 되었는데 모라동, 덕포동과는 <멍에개(가포)>나루터에서 배로서 왕래하였고 낙동강 본류쪽 <진등뫼(잔등)>에서 김해 덕두로 왕래하는 나루터가 있었다. 옛날부터 유두리는 퇴적사질토로서 땅이 기름졌는데 제방 안쪽 둔치지대에 일제말기부터 우기를 피해 생산되는 딸기를 재배하였고 해방이후 1970년대까지 삼락 딸기밭은 봄철에 낙동강 제방을 찾는 부산시민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였다. 그래서 삼락동의 지명을 강상청풍(낙동강 위의 맑은 바람), 노전낙조(갈대밭의 저녁 노을), 누하표전(원두막 아래의 딸기밭)의 삼락으로 칭송하였다.

  • 담당부서 : 문화체육과 
  • 전화번호 : 051-310-4067
  • 최종수정일 : 2024-03-12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