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특집

특집

사상소식지 : 299 호

2021 사상구 역점시책 - 스마트 산업도시·친환경 생태도시 조성에 ‘온 힘’

서부산 행정복합타운(기업지원복합센터) 조감도.
 
서부산 행정복합타운(기업지원복합센터) 조감도.


사상구는 ‘새롭고 강한 미래 100년 사상’이라는 구정 목표를 이루기 위해 2021년 한 해 동안 6대 역점시책 추진에 구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사상구가 올해 중점 추진하는 6대 역점시책을 소개한다.


창조와 혁신을 통한 스마트 산업도시

주례·감전·학장·엄궁동 일원의 302만1천㎡ 규모의 사상공업지역을 첨단스마트 산업도시로 만드는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사상재생사업지구(일반산업단지) 재생사업]은 새벽로 도로확장 구간에 대한 보상을 마무리하고 시행계획을 확정지어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간다.
특히 ‘사상공업지역 재생사업’ 활성화구역에 들어설 지하 5층 지상 32층 규모의 서부산 행정복합타운(기업지원복합센터)은 18개 기관이 입주할 계획이며, 올해 말까지 부지조성을 완료하고, 2023년 건축공사에 들어가 2025년 준공할 예정이다.
또 오는 2025년까지 삼락중학교·부산솔빛학교 부지 일원에 들어설 ‘지역산업 혁신거점 시설’(공업지역 산업혁신구역 시범사업)에는 탄성소재R&D센터를 비롯해 산업혁신 지원센터, 문화·교양시설 등을 유치할 계획이다.
학장동 공업지역 내 대호P&C 부지에는 폐공장을 활용한 재생사업 등 ‘산업단지 상상허브’를 조성함으로써 노후한 사상공업지역이 명실상부한 첨단 스마트시티로 거듭날 획기적인 기틀을 마련한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사업비 50억원을 들여 7천여 전통 제조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제조업 비즈(BIZ) 플랫폼’을 구축할 뿐만 아니라, 1억원을 들여 각종 특허를 보유한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IP) 창출’을 지원하는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기업 지원을 한층 강화해 나간다.


아름답고 쾌적한 친환경 생태도시

늘 푸른 녹색도시,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르는 친환경 생태도시 만들기에 온 힘을 기울인다.
2022년 6월까지 사업비 18억5천만원을 들여 사상역 공영주차장 일원(1만㎡)에  ‘광장형 도시숲’을 조성한다.

부산도서관 문화공원 조감도.

 
부산도서관 문화공원 조감도. 

 
부산도서관 앞(덕포동 415-1번지 일원)에는 2022년 12월까지 140억원을 들여 도서관 이용객들과 지역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원’을 조성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주변지역의 부족한 주차공간 확보를 위해 문화공원 조성부지 지하에 주차장을 건립하는 방안을 부산시와 긴밀히 협의한다.
민간공원 조성 특례사업이 추진 중인 ‘사상공원’은 토지보상 절차를 마치는 대로 사업 시행에 들어가 서부산권 대표 도시공원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삼락천 수질개선을 위한 유지용수 확보 공사(직경 250㎜의 관 1천11m 매설, 기계실 설치)에 이어 삼락천과 감전천·학장천에 유지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지용수 펌프장’ 4개소 설치를 추진한다.
학장천 주학교~낙동강 합류지점 4.1㎞ 구간에 사계절 꽃길을 조성하고, 삼락천 2.7㎞ 구간에 보행로(캔틸레버 보행데크)를 연차적으로 조성하는 공사를 올해도 계속한다.


함께 나누고 배려하는 건강한 복지도시

구민 모두가 행복한 복지사회 구현을 위해 지역사회 보장체계를 한층 강화해 나간다.
특히 취약계층의 복지증진을 위해 학장동에 ‘구립 목욕탕’을 건립(26억1천만원)해 운영한다.
어르신들의 안정된 노후생활과 사회활동 참여를 돕기 위해 사업비 123억원을 들여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60개 사업, 월 3천300여명)을 확대·시행한다.
보육 환경 개선을 위해 육아종합지원센터 제2분소 설치를 추진하고, 어린이집에 냉·난방비를 지원하며, 공공형 어린이집도 선정(14개소)한다. 노후 어린이집 리모델링 사업(2개소 1억9천100만원)도 추진한다.
아동의 기본권리 보장을 위해 ‘아동학대조사 공공화 사업’(만 3세 아동, 분기별 전수조사)을 시행한다. 초등학생들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다함께돌봄센터 3호점을 설치하고 지역돌봄협의체를 운영한다.
신속하고 체계적인 감염병 예방을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경로당 등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역학조사반 편성 및 질병모니터 지정·운영 등을 통해 감염병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마을건강센터(12개 동)와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내실 있게 운영하며, 치매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개선을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치매안심마을을 추가 조성(1개소→2개소)할 계획이다.
구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생활체육시설을 확충하는 등 건강체육도시 조성을 위해서도 힘쓴다. 아울러 생활체육 저변 확대를 위해 옛 사상경찰서 부지에 삼락복합문화체육센터를 건립하고, 엄궁유수지에 엄궁복합문화체육센터 건립을 추진한다.
<기사 9면에 계속>
OPEN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