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건강
총게시물 : 2건 / 페이지 : 1/1
- 건강칼럼 - 등산의 계절, 척추·관절 손상 조심하세요
- 왕 태 현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과장 등산은 가을의 대표적인 운동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건강을 위해 찾은 산에서 오히려 건강을 잃고 돌아오는 게 현실이다. 일교차가 심한 요즘, 굳어져 있던 근육을 충분히 풀어 주지 않은 상태에서 등산은 부상의 위험이 높다. 등산 전 스트레칭으로 충분히 몸을 풀어주는 것이 안전한 산행에 필수적이다. 등산하다 염좌, 척추 압박골절 등이 발생해 허리 손상이 나타나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염좌의 경우 근육이나 인대에 무리가 가거나 손상을 입어 발생한다. 발을 잘못 디디거나 다리의 힘이 풀려 발목을 접질릴 경우 염좌라고 하며 등산으로 인한 가장 흔한 손상이라고 할 수 있다. 산행 시 발목을 삐게 되면 산행이 끝날 때까지 장시간 무리가 가게 된다. 발목은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고, 쉽게 손상당할 수 있으므로 하산할 땐 보폭을 줄이고 더 천천히 걷고, 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발목을 삐끗했을 때 부기와 통증이 있거나 뼈에서 소리가 나는 것 같은 증상이 있다면 ‘박리성 골연골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치료를 미루다 보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하산하는 즉시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압박골절의 경우 균형감각을 잃고 넘어져 엉덩이 부분이 바닥에 부딪혔을 때 발생하는데,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의 경우에 흔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척추가 주저앉아 변형되는 골절이다. 갑자기 방향을 틀거나 미끄러지면서 다리가 뒤틀릴 때 무릎 손상이 흔하며, 십자인대 및 측부 인대 손상, 연골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산 시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은 본인 체중의 3배 정도 된다. 여기에 배낭 무게와 흙과 돌, 나뭇잎 등으로 생기는 미끄러움까지 더해져 몸의 중심을 잡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오래 서있거나 많이 걸으면 뒤꿈치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데 특히 중년이고 체중이 많이 나가며 평소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이 갑자기 심한 등산을 하는 경우 발바닥에 있는 ‘족저 근막’이라고 하는 조직에 염증이 생겨 통증을 야기하는 ‘족저 근막염’이 생길 수도 있다. 안전한 등산을 위해서는 오래 걷는 것보다 잘 걷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보행 방법도 중요한데, 우선 배낭의 무게를 줄이고 몸의 균형을 유지한 채 가속도를 이용하여 리듬감 있게 걸어야 한다. 이 때 발바닥 전체로 땅을 디뎌야 힘이 적게 들고 자세도 안정된다. 또한 땅을 디딜 때 발바닥 전체로 디딜 수 있는 곳을 골라 걸어야 한다.
- 2012-11-29
- 해열제·소화제 등 24시간 편의점서 판매
- “이제 간단한 약은 24시간 편의점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 해열진통제를 비롯해 감기약, 소화제 같은 간단한 의약품은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는 편의점 등에서 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안전상비의약품 약국 외 판매제’가 15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휴일이나 늦은 밤에 문을 여는 약국이 적어 주민들이 겪는 불편을 덜기 위해 「약사법」을 개정, 가정상비약의 약국 외 판매를 허용했다. 판매 가능 품목은 해열진통제 5개, 감기약 2개, 소화제 4개, 파스 2개 등 13개 약품이다. 구체적으로 타이레놀정, 어린이부루펜시럽(이상 해열진통제), 판콜에이내복액, 판피린티정(감기약), 베아제정, 훼스탈골드정(소화제), 제일쿨파프, 신신파스아렉스(파스) 등이다. 이들 약을 파는 곳은 소매업자이면서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 대한약사회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자 교육(4시간) 수료, 바코드로 물품 관리, 시·군·구 등록 등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 부산시 보건위생과 관계자는 “개정 약사법이 시행되면서 부산 시내 편의점 1천300여 곳에서 편리하게 가정상비약을 살 수 있게 됐다”면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약의 용법과 용량을 잘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 부산시 보건위생과(☎888-2811)
- 2012-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