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건강

건강

검색영역

총게시물 : 4건 / 페이지 : 1/1

건강 칼럼-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치료
건강 칼럼-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치료
은일수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과장 슬관절(무릎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은 왜 생기는 건가요? 퇴행성 관절염의 원인은 상당히 많고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유전적 요인, 생활습관,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중요한 것은 외상, 즉 다쳐서 흔히 생기는 병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물론 무릎뼈에 골절, 인대 파열 후에 외상성 관절염이 생기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나이가 들면서 서서히 진행하는 노인성 질환입니다. 성별은 여자가 압도적으로 많아서 남자보다 최소 5배 이상 많이 생깁니다. 이것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도 높은 수치인데 왜 우리나라 환자에서 압도적으로 여자가 많은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과제입니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고, 어떻게 진단하는지 설명해 주세요.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은, 특히 걸을 때 생기는 통증이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입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가만히 있어도 아픈데 퇴행성 관절염은 주로 활동을 하지 않으면 아프지 않습니다. 다만 퇴행성 관절염도 심하게 진행되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은 무릎이 붓고 걸을 때 소리가 나기도 하며 병이 진행할수록 무릎의 변형이 오게 되는데 주로 다리가 오자로 변하는 내반변형이 가장 흔합니다. 이런 증상으로 병원을 찾아오시면 먼저 단순 방사선 사진 검사를 합니다. 체중을 부하해서 사진을 찍으면 관절염의 정도를 알 수 있는데 관절염이 뚜렷이 관찰되지 않을 경우에는 MRI 검사를 시행합니다. MRI 검사를 시행하면 연골, 인대 및 염증 상태도 관찰할 수 있어서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치료하나요? 수술을 해야 하나요?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1기에서 4기까지 나누는데 1, 2기는 주로 약물 치료를 시행합니다. 그리고 3기는 나이나 다른 요인들을 고려해서 수술을 하기도 하고 약물 치료를 시행하기도 하지만 4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관절염 1기와 2기에 시행하는 약물치료는 먹는 약과 무릎에 시행하는 주사요법이 있는데 약물은 급성기, 즉 아주 통증이 심할 때 쓰는 약과 만성기, 즉 중간 정도의 통증이 있을 때 쓰는 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기의 치료 방법은 좀 복잡합니다. 환자의 나이와 관절염의 정도에 따라 약물 치료를 하는 경우도 있고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경수술과 절골술 및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합니다. 4기는 주로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합니다. 무릎수술 가운데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고 연구도 가장 활발한 분야입니다. 과거에는 약 10년에서 15년 정도 수명이 있다고 했는데 최근의 연구들을 보면 수술이 잘 시행되었을 경우 30년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연구도 많아서 적어도 20년 이상은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환자들에게 좋은 운동으로는 어떤 게 있고, 어떻게 하면 좋은지 알려주세요. 관절염이 없으신 분들은 걸으면서 말할 때 숨이 조금 차는 정도로 걷기 운동을 하시는 것이 좋고, 무릎관절염이 있는 환자분들도 운동을 해야 합니다. 걷지 않으면 근위축이 오고 이차적으로 다른 문제들이 계속해서 발생합니다. 관절염이 있는 분들은 이보다 느린 속력으로 ‘천천히 걷는 운동’이 좋습니다. 다만 등산처럼 오르내리는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관절염이 있다고 운동을 멀리하실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가능한 만큼은 운동을 계속하실 것을 강력히 추천 드립니다.
2019-08-01
제8기 사상건강아카데미 입학 안내
제8기 사상건강아카데미 입학 안내
2019-08-01
헌혈로 이웃사랑 나눔 실천하세요!
헌혈로 이웃사랑 나눔 실천하세요!
 
2019-08-01
건강도시 사상! 8월 건강사업 안내
건강도시 사상! 8월 건강사업 안내
2019-08-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