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교육
총게시물 : 3건 / 페이지 : 1/1
- 사상다행복축제, 11월 10일 명품가로공원서 첫 개최
- 동주윈드오케스트라 등 13팀 공연, 다양한 체험·전시 즐기는 부스 35개 마련 아이들이 행복한 사상을 만들어가는 사상구와 부산북부교육지원청이 ‘사상다행복축제’를 처음으로 개최한다. ‘사상다행복마을, 新(신)나는 교육과 만나다’를 주제로 한 이번 축제는 11월 10일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4시까지 괘법동 명품가로공원(르네시떼~삼성전자서비스센터 앞)에서 열린다. 축제에는 사상다행복교육지구 관내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 등 40개 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물론, 지역연계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자, 사상다행복마을교육활동가 양성아카데미 참가자, 사상다행복학부모동아리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단원 39명으로 이뤄진 동주초등학교의 ‘동주윈드오케스트라’와 엄궁초등학교의 ‘사상챔버오케스트라’(단원 30명)를 비롯해, 덕포여중 댄스동아리, 부산에너지과학고 밴드 등 13팀이 참가해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특설무대에서 선보인다. 또 사상다행복마을교육공동체와 사상학부모동아리, 지역사회이해교사연구회 등에서 활동하는 35팀이 각종 부스 35개를 운영함으로써 축제 참가자 누구나 다양한 체험과 전시, 먹거리를 즐길 수 있다. ‘사상다행복교육지구’는 사상구와 부산시교육청, 북부교육지원청이 협약을 통해 학교와 지역이 협력하는 지역공동체를 구축해 모두에게 신뢰받는 공교육 혁신과 지역 동반 성장을 이루기 위해 지정한 지역을 말한다. 201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간 운영하며, 연장 가능하다. 교육지구의 각종 사업을 수행하는 ‘사상다행복교육지원센터’는 사상초등학교 서편 건물 3층에 있으며, 사상구와 교육청에서 파견한 직원들이 근무하고 있다. 사상다행복교육지원센터(☎310-3341~7)
- 2018-10-29
- 별별일자리 체험 프로그램 어때요?
- 27일(토) 오전 10시30분 사상구진로교육지원센터서 진행 사상구진로교육지원센터가 초등학교 4~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토요진로직업 체험 프로그램인 ‘별.자.리’(별별일자리)를 진행하고 있다. 10월 ‘별.자.리’는 20일(초등학생)에 이어 27일(중학생) 오전 10시30분부터 2시간 동안 사상구청소년수련관 3층 목공카페에서 마련된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로봇과학자란 무엇인지’, ‘코딩이란 무엇인지’, ‘코딩작업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등을 배우게 된다. ‘별.자.리’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은 사상구진로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http://dreamsasang.or.kr)에서 신청하면 된다. 선착순 16명(중학생) 모집하며, 참가비는 무료다. 사상구진로교육지원센터 관계자는 “지원센터는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청과 연계한 다양한 직업체험, 진로코칭, 진학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면서 “진로진학과 관련된 고민이 있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망설이지 말고 센터의 문을 두드려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상구진로교육지원센터(☎316-7942)
- 2018-10-29
- 일본 우토로 마을 돕는 꿈꾸는 배지
- 덕포여중 위드동아리, 판매수익금 평화기념관 건립에 기부 ‘덕포여중 기부 동아리 with’(약칭 위드동아리)가 일본 우토로 마을 평화기념관 건립에 도움을 주기 위해 ‘꿈꾸는 시리즈 배지’를 제작, 판매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위드동아리’는 올해 4월 첫 모임을 가졌으며, 현재 3학년인 최슬기 학생 등 13명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위드동아리’는 첫 사업으로 3학년 윤영주 학생의 제안과 도안을 채택했다. ‘꿈꾸는 시리즈 배지’(사진은 배지를 판매할 때 사용된 포스터)를 제작해서 팔아 그 수익금을 일본 우토로 마을에 기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8월 23일부터 개당 1천500원으로 판매를 시작하자, 당초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기부에 참여해 추가제작까지 했다. 학교 선생님들도 기부에 보탬이 되어주셨다. 아직도 판매가 진행 중인데 약 70개가 팔려 ‘덕포여자중학교’라는 이름으로 대략 10만원을 기부할 예정이다. 일본 우토로 마을은 일제 강점기인 1941년 군 비행장 건설에 동원된 조선인들이 거주했던 마을로, 반세기 동안 차별과 빈곤, 강제 철거의 위협 속에 버텨왔다. 현재 우토로 마을을 기억하기 위한 평화기념관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청소년기자 한지수(덕포여중3)
- 2018-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