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열린마당

열린마당

검색영역

총게시물 : 2건 / 페이지 : 1/1

엄궁 ‘큰샘’의 내력
엄궁 ‘큰샘’의 내력
    30여 년 전 엄궁동에 살았던 사람이라면 ‘장군샘’과 ‘큰샘’을 기억하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장군샘’은 예전에 엄궁교 위에 살던 산동네 사람들이 주로 길러 먹던 엄궁에서 제일 좋은 샘이었다. 조선시대에 이 물을 먹고 자란 소년이 훗날 장군이 됐다고 해서 ‘장군샘’이란 이름이 붙게 됐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이러한 ‘장군샘’ 주변에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해 엄궁 산마을이 형성됐다고 한다. 승학산이 활처럼 품에 안고 있는 엄궁동이 새로운 주택단지로 변하면서 장군샘터 주변은 복합 상가 건물로 바뀌었고, 지금은 엄궁 토박이들만이 장군샘의 내력을 알고 있을 뿐이다. ‘큰새미걸’이라고도 불리었던 ‘큰샘’은 1800년대에 만들어진 윗샘과 아랫샘이 있었으나 주택단지와 도로개설로 윗샘은 없어지고 아랫샘만 남아있다. 현재 엄궁파출소 옆에 주민들이 두레박으로 길러 먹던 공동우물이 보존되고 있는 곳이다. 우물가는 아낙네들이 물을 긷고 채소류를 씻거나 마을 아낙네들의 온갖 수다가 이어졌다. 공동우물이 그렇듯, 큰샘 역시 생활용수의 주공급원에다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이자, 정보의 중심이었다. 특히 논과 밭이 부족했던 엄궁 마을의 남정네들은 주로 배를 타고 낙동강에서 재첩을 잡았으며, 아낙네들은 큰샘의 물을 길러, 재첩을 씻어 국을 끓인 다음, 새벽녘이면 재첩국을 양동이에 담아서 머리에 이고 학장을 지나 구덕고개를 넘어 대신동 지역으로 팔러 다녔다 한다. 엄궁동 주민들의 생활 속의 한 가운데 있었던 아랫큰샘은 1980년대 초반에 상수도가 보급되면서 차츰 폐허가 됐다. 30여 년의 세월이 흐른 뒤 엄궁동 주민들의 염원을 모아 2012년 10월에 주변을 산뜻하게 정비했다. 사라진 장군샘, 윗큰샘 대신 홀로 남아 보존되고 있는 아랫큰샘은 엄궁동 지역주민들의 애환 담긴 삶의 실타래를 풀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강 은 수 (명예기자)
2015-02-27
3월 11일 전국동시조합장선거, 깨끗한 한 표가 조합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선거가 없는 해에는 무슨 일을 하십니까?” 선거관리위원회에 근무한 10여 년 동안 내 직업을 밝히는 순간 가장 자주 들은 질문이다. 보통 ‘선거’하면 떠올리는 공직선거인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가 없는 올해에는 선거를 치르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오는 3월 11일은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라는 중요한 선거가 기다리고 있다. 2005년부터 전국 1천300개 이상의 농협, 축협, 산림조합의 장 선거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왔지만 조합장선거는 공직선거에 비해 선거인수가 적은 탓에 한 표의 영향이 커 ‘돈 선거’ 시비가 끊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재보궐선거가 이어지면서 인력.예산이 낭비된다는 문제가 계속하여 제기되어 왔다. 이에 2014년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되었으며,  올해 최초로 전국동시조합장선거를 실시하게 되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이 최초의 전국동시조합장선거에서 ‘돈 선거 척결’이라는 시대적 소명과 국민의 염원을 반드시 실현하고, 엄정중립의 자세로 공정하게 선거관리에 임하여 공명선거의 신기원을 이루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각오를 다졌다. 그렇지만 벌써부터 전국 곳곳에서 돈 선거의 대표적 사례인 후보자의 금품·향응 제공행위가 적발되어 입후보예정자가 고발당할 뿐만 아니라 금품.향응을 제공받은 조합원에게도 제공받은 금액의 30배에 달하는 과태료가 부과되는 등 선거가 혼탁.과열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조합장선거에 있어 선거인이 금품 또는 음식물 등을 제공받을 경우 최고 3천만원의 범위에서 10배~50배에 달하는 과태료가 부과되며, 이를 신고한 사람은 최고 1억원까지 포상금을 지급받게 되며 신고자의 신원은 철저히 보호된다. 만약 신고자가 범죄에 관련되어 있더라도 자수할 경우에는 형을 감면 또는 면제받을 수 있다. 돈 선거는 은밀히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합원의 내부고발에 의하지 않고는 적발이 쉽지 않다. 조합원의 의식제고를 통한 자발적인 신고정신만이 진정 조합원이 주인이 되는 선거가 될 수 있다. 임 주 연 (사상구선거관리위원회 홍보주임)
2015-02-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