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종합

종합

검색영역

총게시물 : 4건 / 페이지 : 1/1

4월 25∼27일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4월 25∼27일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26일 오후 2시 지진대비 민방위훈련, 우리 모두 참여합시다     태풍과 집중호우, 지진, 지진해일(쓰나미) 등에 대비하기 위한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Safe Korea Exercise, SKX)이 25일부터 27일까지 사흘간 실시된다.첫날인 25일에는 ‘대규모 풍수해 등 자연재난 대응훈련’을 실시한다. 태풍(루사) 북상에 따라 공장과 주택이 침수하고 20여 명의 중·경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고, 비상근무 중인 사상구 재난안전대책본부 직원들이 인명구조 및 복구활동을 벌인다.둘째 날인 26일에는 ‘지진 및 지진해일 대응훈련’을 실시한다. 특히 이날 오후 2시엔 지진대비 민방위훈련을 전국적으로 실시한다. 재난위험경보 사이렌이 울리면 주민 이동 및 교통이 통제되며, 학생과 직장인, 주민 등은 전기코드를 빼고 가스밸브를 잠그고 신속히 안전지대로 대피하는 훈련을 한다.  셋째날인 27일에는 테러·화재 등에 대비한 ‘인적재난 대응훈련’을 실시한다.아울러 사흘 동안 구청에 훈련종합상황실을 설치, 운영하면서 도상훈련도 함께 실시한다. 보다 내실 있는 훈련을 위해 전문평가단이 훈련상황 전반에 대해 평가한다.문의 : 도시안전과(☎310-4635)
2012-04-30
매주 목요일 야간 민원실 운영
      밤 8시까지 여권 접수·교부, 주민등본 등 22종 발급   구청은 맞벌이 부부와 직장인 등 일과시간 내 민원실 방문이 어려운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4월 5일부터 목요일에 ‘일과시간 외 민원실’을 운영하고 있다.  목요 야간민원실은 직원 3명이 매주 목요일 저녁 6시부터 8시까지 구청 1층 종합민원과에서 근무하면서 여권 접수·교부를 비롯해 주민등록 등·초본 등 22종의 제 증명 발급 업무를 한다.야간민원실을 이용한 한 주민은 “회사에서 근무하다 보면 관공서에서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시간이 없었는데 야간에도 민원실을 이용할 수 있어서 참 편리하다”고 말했다.문의 : 종합민원과(☎310-4262)
2012-04-30
공유토지 분할절차 쉬워진다
      특례법, 5월 23일부터 시행     오는 5월 23일부터 2015년 5월 22일까지 3년간 한시적으로 「공유토지분할에 관한 특례법」이 시행된다.신청 대상은 공유자 총수의 1/3 이상이 그 지상에 건물을 소유하는 방법으로 1년 이상 자기 지분에 상당하는 토지부분을 특정하여 점유하고 있는 공유토지면 된다. 다만 가족 등이 단순 공유로 소유하고 있거나, 공유물 분할의 소 판결, 소송 진행 중인 토지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된다.토지 분할을 원하는 경우 공유자 총수의 5분의 1 이상 또는 20인 이상의 동의를 얻어 분할신청서 등 구비 서류를 갖춰 토지정보과(☎310-4771~5)에 신청하면 된다.
2012-04-30
4월 반상회 주요의제
    [일시 : 4월 25일(수) 오후 8시]     적십자회비, 당신의 참여로 희망이 채워집니다□ 집중모금기간 4월 30일까지 연장□ 납부에 따른 세제 혜택 ○ 개인 및 개인사업자는 법정기부금으로 연말정산 시 100% 소득공제됩니다. ○ 법인이 내신 적십자회비는 50%까지 손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적십자회비로 할 수 있는 일 ○ 적십자회비 8천원으로 홀로어르신, 조손가정 등에 영양이 가득한  ‘사랑의 도시락’과     부식을 전할 수 있습니다. ○ 적십자회비 2만원으로 끼니를 거르는 소외계층에게 쌀 10㎏을 전할 수 있습니다.   결식우려 취학아동, 방학 중 아동급식 신청하세요□ 신청대상 : 여름방학 중 결식우려 18세 미만 취학아동 □ 신청기간 : 4월~6월□ 신청방법 : 전화·우편·방문신청 등 □ 신청기관 : 거주지 동주민센터   어려운 이웃을 찾아서 알려 주세요    가족과 사회의 보살핌에서 소외된 우리 이웃, 사랑이 닿지 않는 곳이 단 한 곳도 없는 사상구를 만들기 위해 구청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습니다.  특히 구청에서는 4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를 ‘복지소외계층 집중 발굴 기간’으로 지정해 관내 쪽방, 폐·공가, 여인숙, 창고, 화장실, 지하철 등에 대해 집중 조사합니다.   또한 어려운 이웃을 찾아 도와주기 위해 ‘복지소외계층 집중 발굴 사업’을 추진, 주민들의 신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신고 : 보건복지콜센터(☎129번), 각 동 주민센터, 구청 희망복지지원단(☎310-4342)
2012-04-3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