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뉴스
주요뉴스
총게시물 : 4건 / 페이지 : 1/1
- 사랑과 행복의 ‘새해 소망트리’ 점등…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 구민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이제 며칠 남지 않은 2013년 마무리 잘하시고, 사랑과 행복이 넘치는 희망찬 갑오년(甲午年) 새해를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사진은 사상구가 11일 괘법동 광장로 명품가로공원에 설치한 높이 9m의 새해 소망트리.
- 2013-12-31
- 엄궁동 주민 숙원 35년 만에 풀린다
- 동주민센터~엄궁아파트간 계획도로 착공 옹벽 등 난제를 ‘2단도로’로 해법 찾아 “30년 묵은 체증이 내려간 것처럼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내년 5월 도로가 완공·개통되면 마을 잔치라도 열어 축하할 생각입니다.” 엄궁동 주민들은 12월 5일 착공식을 가진 엄궁동주민센터~엄궁아파트간 도로개설공사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 이렇게 말했다.또 “도로 중간에 콘크리트 옹벽을 새로 쌓는 난공사이기에 튼튼하게 시공하는 것은 물론, 경관을 최대한 살려 친환경적으로 건설해 우리 지역의 명물이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도로는 총연장 165m, 너비 10m의 도로로 지난 1978년 12월 6일 계획도로로 지정된 지 35년 만에 착공식을 갖게 돼 지역 주민들의 감회는 남달랐다. 엄궁동의 중심인 동주민센터를 시점으로 남북방향을 잇는 도시계획도로이지만 그동안 옹벽처리 문제, 지역 주민들 간의 이견 등으로 인해 오랜 기간 방치돼 왔었다. 특히 기존 도로 폭이 너무 좁고 경사가 심해 차 한대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데다, 그나마 무단주차 차량이 도로 한 쪽을 차지하고 있을 땐 다른 차량이 지나갈 수 없어 운전자들끼리 말다툼이 벌어지곤 한다. 더욱이 제대로 통행하기 어려운 도로 한 가운데에 최고 높이 14m의 거대한 옹벽이 만리장성처럼 버티고 서있어 이 옹벽을 경계로 윗마을과 아랫마을로 나눠져 있다. 이런 난제를 지닌 장기 주민숙원 사업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해 초부터 구청과 구의회 등이 협력, 총 28억4천만원의 사업비(공사비 21억원, 보상비 7억원)를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또 주민 설명회도 3차례나 개최해 흩어진 주민들의 의견을 한데로 모았다. 사실 이 도로는 도로의 기하구조(幾何構造, 도로의 평면 선형·종단 선형이나 횡단 형상 등에 관한 설계) 상 옹벽으로 나눠진 윗마을과 아랫마을을 한번에 연결할 수 없는 특이한 구조를 갖고 있다.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구청 관계자와 건설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은 끝에 높이가 다른 ‘2단도로’라는 해법을 찾아냈다. 동주민센터에서 엄궁아파트 방향으로 상행선 도로는 기존 도로 높이로 개설하는 한편, 엄궁아파트에서 동주민센터 쪽으로 하행선 도로는 10m 정도 낮춰 개설하는 묘안을 도출했다. 또 옹벽은 부산대학교 임종철 교수의 자문을 받아 최신공법으로 튼튼하게 새로 쌓기로 했다. 이 또한 윗마을과 아랫마을 주민들의 이해와 양보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건설과 관계자는 “주민들의 이해와 협조에 힘입어 도시계획시설로 지정된 지 35년 만에 첫 삽을 떴다”며 “통행 불편을 해소하는 도로개설에 힘써 사통팔달로 연결된 ‘네트워크 도시’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건설과 (☎310-4704)
- 2013-12-31
- 북부산세무서~백양로간 도로개설 ‘파란불’
- 설계비 17억원 새해예산에 반영 장기 숙원사업인 북부산세무서~백양로간 도로개설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사상구와 부산시는 가야로 사상구청교차로와 백양로간 연결을 위한 도로개설 설계비 17억원을 새해 예산에 반영했다. 2016년까지 357억원을 추가투자(기투자 275억원, 총사업비 632억원)하여 너비 17~25m, 길이 1천540m(지하차도 320m, 본선 및 연결도로 1천220m) 규모로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 부산시가 백양로 연결방안 타당성 용역 중에 있으며, 내년 2월 마무리되면 실시설계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사업은 1995년 착수해 2010년 전 구간에 대한 보상을 마치고, 2011년 3월 평면도로 구간(사상구청교차로~북부산세무서) 공사를 준공했으나, 재원 부족과 주민 민원으로 인해 북부산세무서~백양로간 도로개설사업이 미뤄져왔다. 이 도로가 완공·개통되면 가야로와 백양로가 곧 바로 연결돼 출퇴근 시간 이 일대의 극심한 교통정체가 해소될 뿐만 아니라, 사상스마트밸리의 진입도로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보인다. 기획감사실 (☎310-4012)
- 2013-12-31
- 엄궁유수지, ‘깨끗한 인공습지’로 거듭난다
- 비점오염저감시설도 같이 설치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 구정회 이사장이 지역인재 육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악취 나던 엄궁유수지가 오염저감시설을 갖춘 인공습지로 거듭날 것으로 보인다. 사상구는 12월부터 국·시비 87억원을 들여 감전천 종착지인 엄궁유수지에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는 공사에 들어갔다. 이번 공사는 2015년 7월 완공할 예정이다. 구는 엄궁유수지(면적 5만1천㎡) 안에 3천500㎥ 규모의 저류시설과 유지용수 펌프장(1천500㎥) 등을 설치해 비가 오면 감전천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각종 비점오염물질(주로 빗물과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 비료나 농약, 교통오염물질, 도시의 먼지와 쓰레기 등을 말한다)을 정화할 계획이다. 저류시설에 모인 물은 침전 작용을 거쳐 하등수는 방류관을 타고 장림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다. 저류시설 인근에는 6천㎡ 규모의 인공 생태습지가 조성되는데, 저류시설에서 걸러진 상등수가 이곳으로 보내져 자연정화를 거쳐 낙동강으로 흘러가게 된다. 저류시설과 습지가 조성되면 악취가 심했던 엄궁유수지의 이미지가 바뀔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과 (☎310-4701)
- 2013-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