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공동체 현황
마을공동체란?
주민 개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존중되며, 상호 대등한 관계 속에서 마을에 관한 일을 주민 스스로 결정하고 추진하는 주민 자치적 공동체를 말한다.
마을공동체 현황
구분 | 공동체명 | 설립목적 | 설립 연도 |
활동 인력 |
활동(사업) 내용 |
---|---|---|---|---|---|
사상구 | 사상구 마을협의체 사상·민 | - 마을공동체허브역할 - 마을공동체네트위크 |
2014년 | 300명 | •마을 간 교류 및 활성화 모색 •품마켓 |
삼락동 | 삼락천환경지킴이 | - 환경친화적 자연하천조성 | 2002년 | 23명 | •삼락천살리기 운동 전개 |
가포행복마을 | - 주민공동체 형성 - 마을경제력향상 |
2016년 | 10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 |
샛강사람들 | -주민공동체 형성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 |
2015년 | 25명 | •사상생활사박물관 연계 •삼락 마을축제, 우리마을 팸투어 |
|
삼락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24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저소득층 반찬 나눔 |
|
모라1동 | 모래내행복마을 | -행복마을만들기 | 2014년 | 19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
햇살나무도서관 | - 마을공동체 문화공간 조성 | 2009년 | 600명 | •작은도서관운영 •마을공동체커뮤니티형성 |
|
모라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17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모래내마을 공존협의체 | -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 2022년 | 51명 | •지역 문제 발굴과 해결책 모색 •거점시설 운영을 위한 역량강화 |
|
모라3동 | 라포마을공동체 | - 행복마을만들기 | 2022년 | 13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
꿈사모 | - 마을문제해결을 위한공동체 형성 | 2012년 | 20명 | •환경정비 및 화단조성 •생활문화 캠페인 활동전개 |
|
운수골축제추진위원회 | - 복지 및 생활환경 개선 | 2011년 | 50명 | •주민리더교육 운영 •지역내 올바른 반려견관리 캠페인 |
|
여성장애인공동체 생태공방 미담 |
-장애인 재능 나눔 활동 | 2014년 | 8명 | •마을공동체 역량강화사업 •수공예(가죽,비즈,한지,리본 등) |
|
아모사 | - 살기좋은 마을 만들기 | 2012년 | 13명 | •마을환경정비 및 마을신문제작 | |
모라3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17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덕포1동 | 한내행복마을협동조합 | - 주민공동체형성 - 마을경제력향상 |
2012년 | 19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바리스타, 마을소식지, 전통혼례 |
강선대행복마을 | -마을 활성화 | 2013년 | 10명 | •8090 생일상, 행복담은 밑반찬 | |
덕포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마을 활성화 | 2012년 | 15명 |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덕포2동 | 덕포2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복지소외계층의 문제 해결 | 2013년 | 30명 | •홀로어르신생신상차려드리기 •노인무료급식 |
괘법동 | 괘내행복마을협동조합 | - 행복센터 및 괘내 마을 활성화 | 2013년 | 6명 | •행복센터 운영 •홈패션, 토탈공예, 공동텃밭운영 |
괘법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22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괘법동 복지사랑방 |
-마을공동체 네트워크 | 2015년 | 17명 | •무료급식사업 등 | |
괘내마을관리 사회적협동조합 |
-마을경제력향상주민공동체형성 | 2021년 | 20명 | •카페, 베이커리 운영 •체험텃밭 프로그램 운영 |
|
감전동 | 서감행복마을 | -행복마을만들기 | 2015년 | 16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
또바기 지킴이단 | - 마을주거환경개선 -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
2012년 | 7명 | •독거노인 정기적만남 및 안부전화 •다문화가정한글교실 및 아기돌보미 |
|
포플러협동조합 | - 마을역량강화 사업 | 2017년 | 8명 | •포플러음악다방 운영 •마을축제 |
|
감전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18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주례1동 | 온골행복마을 운영위원회 |
- 행복센터 및 온골 마을 활성화 | 2011년 | 21명 | •센터활성화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 운영 |
주례1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19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주례2동 | 냉정보존회 | - 지역 전통문화 계승 및 발전 | 2001년 | 19명 | •당산 및 냉정우물 보존 •당산주변 보호수관리 |
주례2동 산복도로르네상스 주민협의회 |
- 지역 사업발굴 및 주민공감대 형성 | 2013년 | 64명 | •사업 홍보 및 주민공감대형성 •마을만들기사업 발굴 |
|
주례2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22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주례3동 | 주례쌈지 작은도서관 |
- 교육환경개선과 독서문화 보금 | 2005년 | 10명 | •쌈지도서관운영 •영어동화책읽어주기 •청소년논술교실 |
주례3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27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사)푸른마을 | - 복지 및 생활환경 개선 | 2011년 | 8명 | •한부모가정학생 방과후급식도우미 •발달장애우 방과후 체육활동 프로그램운영 |
|
학장동 | 학수고대 | -주거 환경 개선활동 | 2010년 | 15명 | •지역문제해결 주민모임 •마을환경개선 |
행복한새밭마을 팔방미인협동조합 |
-지역공동체 형성생활공감모임 | 2016년 | 31명 | •공동체활성화 및 마을환경 개선 •소외계층 지원사업 |
|
학마을공동체 | - 복지 및 생활환경 개선 | 2003년 | 20명 | •마을신문발간 •학마을잔치 •건강증진환경조성활동 |
|
학장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복지 사각지대 발굴 | 2017년 | 13명 | •복지 사각지대 발굴 및 연계 | |
끄네끼네트워크 | - 복지 및 생활환경 개선 | 2010년 | 11명 | •지역환경정비 •주민역량강화 사업 수행 |
|
학장뚝딱맘 | - 마을역량강화 사업 | 2018년 | 10명 | •지역환경정비 •벽면 꾸미기, 목공예 제작 |
|
엄궁동 | 엄궁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
- 복지소외계층의 문제 해결 | 2013년 | 18명 | •복지소외계층가구 발굴 •햇살가득빨래방사업 •러브유나누기사업 |
엄궁동행복마을 | - 행복마을만들기 | 2018년 | 12명 | •행복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 |
사상성장맘스 | -교육문화 공동체 확산 | 2014년 | 20명 | •엄궁 통통 주민커뮤니티센터 운영 및 관리 •공동교육 및 공동체 활성화 |
- 담당부서 : 도시재생과
- 전화번호 : 051-310-4935
- 최종수정일 : 2024-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