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전체기사

전체기사

검색영역

총게시물 : 35건 / 페이지 : 1/4

건강 칼럼 - 무릎 관절염
건강 칼럼 - 무릎 관절염
박기봉 좋은삼선병원 정형외과 과장 ‘퇴행성 관절염’이란 관절이 퇴화되어, 즉 늙어서 관절이 아픈 경우를 말하고 주로 뼈에 문제가 나타나기 때문에 ‘골 관절염’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쪼그려 앉는 자세를 하게 되면 무릎에 상당한 무리가 오게 되는데, 과거 우리나라 할머니들은 쪼그려 앉아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퇴행성 관절염을 앓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젊은 사람의 경우, 몸무게가 많이 나가서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거나 어려서부터 관절이 아파 고생을 하게 되면 퇴행성 관절염이 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생각해 봤을 때, 오래 쓰면 낡아서 고장이 잘 나고, 평소 험하게 쓰거나, 고장이 났는데 고치지 않고 타고 다니면 쉽게 망가지는 것과 같습니다. 증상 환자가 어느 정도의 신체 활동을 하는지와 관절염이 어떤 단계인지에 따라 증상은 매우 다양한데요. 처음에는 ‘최근에 들어 무릎이 아프기 시작하는 것 같다’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 전에는 등산을 갔다 와도 아무렇지 않았는데 요즘에는 무릎이 가끔 아프다든지, 배드민턴을 아무리 쳐도 괜찮았는데 요즘에는 운동을 조금 많이 하면 아픈 경우입니다. 이런 시기는 관절염 ‘초기 단계’라기보다는 ‘노화 현상’이라 생각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중기가 되면 조금 걸으면 아프기 시작하고 층계를 오르내리기가 불편해집니다. 관절염이 계속 진행하여 말기가 되면 아파서 걷기가 싫어지고, 층계 오르내리기가 힘들며, 아주 심해지면 걷지 않을 때에도 아프고 밤에도 아파서 잠을 못 자고 결국에는 걸을 수도 없게 됩니다.   치료방법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 원칙은 첫째, 통증을 줄여 무릎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고, 둘째, 통증의 정도에 따라 상황에 맞게 대처하는 것이며, 셋째는 진행을 늦추기 위해 관절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모든 관절 질환의 치료는 수술을 하지 않는 법과 수술을 하는 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무릎 관절염’에서 할 수 있는 비수술 치료에는 아프면 관절을 쉬게 하는 휴식이나 통증을 줄여주는 물리 치료, 무릎 주변 근육의 힘을 키워주는 운동 치료,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물 치료 및 주사 치료 등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6개월에 한 번씩 투여하는 연골 주사나 한 번 주사로 2년 효과를 보는 유전자 세포 주사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예방 관절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건강한 무릎은 나빠지지 않도록 잘 관리하고, 아픈 무릎은 더 이상 나빠지지 않도록 아껴 쓰는 수밖에 없습니다. 무릎에 무리를 주는 쪼그려 앉기는 가능하면 하지 마시고, 본인의 무릎 상태에 맞지 않는 무리한 운동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이 잘 다치지 않도록 평소 스트레칭을 통해 무릎 관절의 유연성을 높여 주시고, 관절에 가는 힘이 근육으로 분산되도록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지 걷기나 실내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이 무릎에 무리 되지 않고 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 또한 몸무게를 줄이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층계 오르내리기를 할 때 몸무게의 3~4배가 무릎에 가해진다고 했을 때, 몸무게를 3㎏만 줄여도 무릎에서는 최소 10㎏ 정도의 힘을 덜 받게 되는 거지요. 마지막으로 무릎이 아프면 일단 쉬고, 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2019-03-29
미세먼지 높은 날, 이렇게 대처하세요
미세먼지 높은 날, 이렇게 대처하세요
 
2019-03-29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신청하세요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신청하세요
 
2019-03-29
건강도시 사상! 4월 건강사업 안내
건강도시 사상! 4월 건강사업 안내
2019-03-29
환경보호 위해 텀블러(머그컵) 사용합시다
환경보호 위해 텀블러(머그컵) 사용합시다
환경보호를 위해 사상구청 1층 커피하우스에서는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텀블러(머그컵)를 가져오시는 분께 ‘아메리카노’를 반값에 드리는 이벤트를 하고 있다.
2019-03-29
국공립 주례경동리인 어린이집 개원
국공립 주례경동리인 어린이집 개원
3월 5일 사상구 백양대로 526(주례동)에서 어린이와 학부모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공립 주례경동리인 어린이집 개원식’이 열렸다.
2019-03-29
2019 제1회 무료 건강진료의 날
2019 제1회 무료 건강진료의 날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가족, 저소득 주민들은 ‘2019 제1회 무료 건강진료의 날’인 3월 10일 일요일 사상구보건소를 방문해 무료 진료를 받았다.
2019-03-29
제24회 구민 백일장 & 미술실기대회, 많은 참여 바랍니다
제24회 구민 백일장 & 미술실기대회,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19-03-29
사상여성합창단 단원 모집
사상여성합창단 단원 모집
사상여성합창단(단장 조선자)이 단원을 모집하고 있다. 노래와 음악을 좋아하는 30~50세의 여성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연습은 매주 화요일 오전 10시30분 다누림센터 2층 사상문화원에서 한다. 여성합창단은 우리 구를 대표해서 연 2회 합창경연대회에 참가하고, 정기공연·위문공연 등의 활동을 한다. 여성합창단 관계자는 “음악을 사랑하는 여성이면 누구나 즐겁게 노래하고, 여가를 선용할 수 있다”며 많은 신청을 당부했다.   사상문화원(☎316-9111)  
2019-03-29
시가 있는 창 (61) 배고픈 참새의 비상
시가 있는 창 (61) 배고픈 참새의 비상
참새는 늘 시끄럽다. 참새는 어디를 가나 짹짹거리며 요란을 떤다. 참새 지저귐을 들으며 오래전 발표한 자작 동심시 한 편을 낭송해 볼 때면 정답기도 하다. 오늘 아침에도 참새의 짹짹거림을 들으며 “이슬 한 모금 물고/ 학교 가자고/ 종알종알// 등굣길 인사하며/ 반갑다고/ 쫑알쫑알// 교실 창가에 모여 앉아/ 글 읽는다고 종알종알// 온종일 쫑알거리는 참새 학생”이라며 낭송해 보았다. 참새가 힘겨운 겨울나기를 한 뒤 봄이 오면 더 시끄럽게 군다. 참새는 떼를 지어 비상한다. 배고픈 참새의 비상! 봄에 떼를 지어 날아다니는 참새 떼의 비상은 역동적이다. 배를 조리며 혹독한 추위를 견뎌 내고 힘찬 생의 도약을 한다. 겨울나기에 성공한 참새 떼는 배가 고프다. 허기진 배를 채우기 위해 이리저리 떼를 지어 날아다닌다.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치지 않듯 씨를 뿌려 놓은 밭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배고픈 참새 떼는 본능적으로 밭에 뿌려 놓은 씨앗을 쪼아 먹는다.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다. 때로는 농부의 눈치를 보며 날아들었다가 순식간에 도망을 가기도 한다. 농부가 씨앗을 뿌릴 때 참새 떼가 날아들면 성가시기 마련이다. 참새 떼가 날아들면 참새 떼를 쫓아내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한다. 그래도 태연히 쪼아 먹으면 얼마나 쪼아 먹겠냐며 자연의 순리에 맡겨 두는 마음 넉넉한 농부도 있다. 괭이질하며 밭일하는 농부는 허리 한번 펴기 어렵다. 허리가 끊어질 정도로 밭일을 한다. 농부는 밭일을 다하고 물가에서 괭이를 씻을 때 허리를 편다. 밭일의 고단함을 내려놓는 순간이다. 그때 허리에서 뚜두둑 뼈 소리가 나기도 한다. 그 뼈 소리가 가족들의 가슴에 아프게 파고든다. 참새가 모이를 찾아 내려앉거나 농부의 눈치를 보며 달아나는 행동은 생존 본능이다. 비록 본능이라지만 때론 눈치 없는 사람보다 낫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이성적이다. 그럼에도 눈치 없이 행동하는 사람들이 많다. 눈칫밥을 먹어 본 사람이든 그렇지 않은 사람이든 사람은 눈치가 있어야 한다. 대체로 눈치 없는 사람이 염치가 없다는 평을 듣는다. 역으로 말하면 눈치 있는 사람이 염치 있는 멋진 참다운 사람이라는 평을 듣는다. 모름지기 사람은 염치가 있어야 하나 보다. 참새는 이름 그대로 ‘진짜 새’다. 그렇다면 다른 새는 ‘가짜 새’일까? 신기용 (문학평론가)
2019-03-29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