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뉴스
주요뉴스
총게시물 : 5건 / 페이지 : 1/1
- 서부산 랜드마크 부산도서관 11월 4일 개관
- 도시철도 덕포역 인근 위치 대표도서관·컨트롤타워 역할 11월 6일~8일 다양한 부대행사 부산의 대표 도서관인 ‘부산도서관’이 다음 달 문을 연다. 부산시는 오는 11월 4일 오후 2시 사상구 사상로310번길 33(덕포동) 부산도서관 1층 야외광장에서 개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개관식과 축하 뮤지컬 공연, 시설 관람 등 행사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예방을 위해 최소 인원인 100명 미만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 하지만 개최 시기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개최 방식 및 축하공연 등을 조정하거나 도서관 개방 규모 및 형식도 변경될 수 있다. 도시철도(지하철) 덕포역 2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부산도서관은 1만381㎡의 부지에 지하 2층, 지상 4층, 연면적 1만6천305㎡ 규모로 건립됐다. 총사업비 439억원(국비 173억원, 시비 266억원, 개관구축비 149억원 별도)이 투입된 부산도서관은 4개 자료실과 11개 특화공간으로 조성됐다. 10만9천865권의 도서와 7천589점의 비도서 자료를 비치, 시민들에게 대출·열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도서관법」에 따른 부산시 대표도서관으로 설립된 ‘부산도서관’은 앞으로 부산 지역 도서관과 독서 발전을 위한 정책 실행 컨트롤 타워 역할뿐만 아니라 사상구 등 서부산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식 허브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도서관 관계자는 “부산 지역 대표 도서관의 역할을 부산시민도서관(초읍동)으로부터 부산도서관이 이어 받아 부산의 독서문화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도서관은 개관을 기념해 11월 6일~8일까지 다양한 부대행사를 개최한다. 유홍준 작가의 특강과 강민구 웹툰 작가 초청 강연, 부산지역 작가들의 북 토크 콘서트(3인씩 3회), 부산국제단편영화제·달빛극장 영화 상영(10편), 버스킹 공연 등이 진행된다. 부산도서관 인트로 홈페이지(https://library.busan.go.kr)에서 10월 28일까지 신청(코로나19로 인해 참여 인원 제한)을 받는다. 부산시 부산도서관(☎310-5426) 사상구 문화교육과(☎310-4062)
- 2020-10-29
- 사상스마트시티 승인 고시, 도시재생사업 본격화
- 산업구조 개편·기반시설 및 지원시설 대폭 확충, 첨단산업단지로 재탄생 서부산의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서부산의 센텀시티로 불리는 ‘사상스마트시티’(사진은 사상스마트시티 미래상) 조성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부산시는 ‘사상스마트시티 재생사업지구계획’[사상재생사업지구(일반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계획]을 지난 9월 21일 산업단지계획심의위원회에서 원안 가결한 데 이어, 10월 14일 이를 최종적으로 승인 고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고시로 사상구 주례·감전·학장동 일원의 302만1천㎡ 규모의 사상공업지역(사상공단)을 첨단스마트 산업단지로 만드는 재생사업이 한층 속도가 붙게 됐다. 앞으로 부산시는 ▶업종 고도화 등 산업구조 개편 ▶도로, 도시철도(지하철), 공원·녹지 등 지원시설 및 기반시설 확충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지난해 12월 ‘사상스마트시티’ 내 활성화 구역(학장동 230-1, 25 일원 1만7천348㎡)으로 지정된 ‘서부산행정복합타운’(기업지원복합센터)의 경우 부지 매입과 건물 철거공사를 완료했으며, 토양오염도 조사·부지 정지공사·실시설계 및 건축준공 등의 과정을 거쳐 2025년에 완료할 예정이다. 올해 7월에는 사상공단 내 대호PNC 폐공장(2만7천798㎡)을 활용하여 ‘부산시민 혁신파크’, 복합문화센터, 공공임대 산업센터, 행복주택 등을 조성하는 ‘산업단지 상상허브사업’이 국토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내년 말부터 본격 시행된다. 또 이 지역에 건설 중인 사상~하단 간 도시철도가 완공·개통되면, 시민들의 접근성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지역균형개발과(☎888-2774) 사상구 도시재생과(☎310-4942)
- 2020-10-29
- 주례 온골마을 지하차도 개통, 통행 불편 해소
- 2차선 규모 차로·보도 신설… 기존 온골굴다리는 보행자 전용도로 전환 사상구는 주례1동 온골행복마을 일원의 경부선 지하차도 신설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추석명절 대비 주민 통행 불편 해소를 위해 9월 29일 임시개통한 데 이어 10월 6일 정식 개통했다. 기존의 ‘온골지하차도’(온골굴다리)는 1905년 경부선 건설 당시 설치돼 현재까지 오랜 기간 주민들과 함께 온골행복마을을 지켜온 굴다리이다. 이처럼 110여 년 동안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지닌 온골지하차도의 보존을 위해 지하차도 신설공사는 기존 굴다리의 원형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경부선 철도를 횡단하는 기존의 온골지하차도는 폭이 2.13m로 협소한데다, 신호등 신호를 통한 일방통행 방식으로 소형차량과 보행자가 동시 통행함으로써 안전사고 위험이 매우 높은 구간이었다. 이에 사상구는 주민들의 안전한 통행로 확보와 도심의 교통 흐름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국가철도공단과 위·수탁협약을 맺고, 지난 2017년 5월 기존 지하차도(온골굴다리) 옆에 새 지하차도를 개설하는 공사에 들어갔으며, 올해 9월 공사를 마무리했다. 신설 ‘온골지하차도’는 총연장 42m, 폭 7m(통과제한높이 4.2m)이며, 보행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차도와 보도가 구분되어 있다. 2차선 규모로 신설되면서 버스의 통행도 가능하게 됐다. 공사비는 94억원이 투입됐다. 사상구에서는 “주례1동 온골행복마을 주민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온골지하차도 개통으로 주민과 차량의 통행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또한 기존 지하차도를 보행자 전용도로로 전환하기 위한 보행환경 및 도심미관 개선사업을 곧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건설과(☎310-4694)
- 2020-10-29
- 주례동 다함께돌봄센터 개소
- LG신주례아파트 206동 101호 리모델링 후 오픈 초등학생 대상 ‘지역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사상구 다함께돌봄센터 2호점인 ‘주례동 다함께돌봄센터’가 문을 열었다. ‘주례동 다함께돌봄센터’는 사상구 백양대로342번길 17, 206동 101호(주례동, LG신주례아파트)를 리모델링해 지난 10월 19일 개소했으며, (사)신라배움나눔공동체가 위탁 운영한다. 다함께돌봄센터는 방과 후 아이들을 안전하게 돌보기 위한 시설로, 돌봄이 필요한 만 6세~12세 아동(초등학생 20명 내외, 맞벌이 가구 우선)이면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월 5만원의 이용료(방학중 급식비 제외)를 내고 돌봄교사 등으로부터 숙제·독서 지도를 받는다. 또 양질의 방과 후 특화프로그램을 수강하고, 간식도 제공 받는다. 학기 중에는 월~금요일 오전 11시~오후 7시까지 운영하고, 방학 중에는 시간을 확대해 운영할 예정이다. 복지서비스과(☎310-4294) 주례동 다함께돌봄센터(☎327-2660)
- 2020-10-29
- 복지자원은행 다온뱅크, 전국 지자체 생산성 대상 1위
- 전국 최초의 복지자원은행인 ‘다온뱅크’가 ‘2020년 지방자치단체 생산성 대상’ 우수사례(사람중심 포용사회) 분야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행정안전부가 주관하는 ‘생산성 평가’는 지자체의 종합적인 행정역량을 가늠하기 위한 것으로, ‘생산성 지수’ 측정과 포용사회·환경안전·시민공동체·상생경제 등 분야별 ‘생산성 우수사례’ 선정으로 나뉘어 이뤄졌으며, 올해 우수사례 분야에서는 전국 173개 지자체에서 419건을 응모했다. 사상구는 ‘따뜻한 약속이 모이는 사상구 복지자원은행 다온뱅크’라는 주제로 응모했다. ‘다온뱅크’는 지난해 9월 사상구에서 전국 최초로 설립한 복지자원은행으로 누군가를 돕고자 하는 마음을 약속의 형태로 저축하고, 이렇게 저축된 복지자원을 위기에 처한 우리 이웃에게 꼭 필요할 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자원은행이다. 현재 ‘다온뱅크’에는 23개의 기관자원과 789건의 서비스자원이 등록되어 다양한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사상구에서는 지역 내 복지자원에 대한 두 차례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지역 간, 자원 간 불균형 등을 분석해 복지수요와 공급자원을 체계적으로 발굴·관리하고 있으며, 주민생활과 밀접한 23개 공공·민간 협력기관과의 협약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직접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기획감사실(☎310-4014) 복지정책과(☎310-4662)
- 2020-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