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
  • 관광
  • 가볼만한곳
  • 운수사

운수사

운수사는 우리고장에서 가장 오래된 고찰로서 대웅전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896호로 지정(2016.3.2.) 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주심포계 맞배집 건축 양식의 대웅전은 조선시대 불전건축의 전형을 잘 보여주는 부산지역 최고(最古)의 목조건축이다. 2013년 대웅전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종도리(宗道里) 밑면의 상량 묵서명(墨書銘)을 보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 25년(1647)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효종 6년(1655)에 완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운수사 대웅전은 여러 건의 묵서명 등 문헌사료가 풍부하고 시기별로 다양한 건축기법을 보여주고 있어서 조선 중기 이래 불전건축의 변화상도 살필 수 있다. 특히 임진왜란 이전의 목조건축이 전무(全無)한 부산 지역에서 건립 연대가 확실할 뿐 아니라 원래의 모습을 온전히 간직하고 있어서 학술적으로나 문화재로서의 그 가치가 대단히 크다.

1740년에 편찬된 동래부지(東來府誌) 불우조(佛宇條)에 보면 <운수사 초명 신수암(雲水寺 初名 新水庵)>으로 나와 있는데 원래는 신수암이라고 부르던 암자가 운수사로 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운수사의 창건에 관한 전설에 의하면 이 절 경내에 있는 약수터에서 안개가 피어올라 구름이 되는 것을 보고 운수사로 하였다고 하며, 절 입구의 두꺼비 바위에 얽힌 전설 등 많은 옛 이야기가 전해온다. 사상팔경(沙上八景)에 <운수모종(雲水暮鐘)>이라는 글귀가 나오는데 옛날 운수사의 저녁 종소리가 지역 주민의 정신적 상징이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제4유형-공공누리(출처표시,상업용금지, 변형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문화체육과 
  • 전화번호 : 051-310-4067
  • 최종수정일 : 2018-07-13
만족도 영역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